지역주택조합 변호사 법무법인 청율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지역주택조합 변호사 법무법인 청율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법무법인 청율인 소개
    • 지역주택조합
    • 부동산매매
    • 분양대금연체

검색 레이어

지역주택조합 변호사 법무법인 청율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변호사

  • [부동산변호사]부동산 임대차 분쟁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2021.03.12 by 지주택 전담팀

  • 월세보증금, 집주인이 안돌려준다고 할 때 대처법

    2021.03.10 by 지주택 전담팀

  • 전세사기의 유형과 전세사기 예방법_부동산 변호사

    2021.03.08 by 지주택 전담팀

  • 부동산 가계약금 반환 받을 수 있을까요?

    2021.03.04 by 지주택 전담팀

  • [지역주택조합 재개발 재건축]내가 조합원 자격이 될까?

    2020.12.22 by 지주택 전담팀

  • 분양중도금 지체 중 입주예정일이 도래한 경우, 연체료를 지급해야할까?

    2020.10.16 by 지주택 전담팀

  • 부동산 매매계약취소, 가능할까?

    2020.10.07 by 지주택 전담팀

  • 부동산 매매 분쟁, 부동산 매매계약 작성시 주의할 점

    2020.09.28 by 지주택 전담팀

[부동산변호사]부동산 임대차 분쟁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인천대표 법무법인 청율인 부동산법률상담센터입니다. 부동산 임대차 분쟁 관련 법률상담 문의는 거의 매일 문의가 들어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일 것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임대차 분쟁을 보다 빠르게 해결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합니다. 먼저, 부동산 임대차 분쟁시 우선 내용증명을 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내용증명은 '보내는 사람이 받는 사람에게 어떤 내용의 문서를 언제 보냈는가'라는 사실을 우체국에서 공적으로 증명해 주는 제도입니다. 자신이 보내는 문서의 내용을 증명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하는 우체국의 특별한 우편제도입니다. 임대차 분쟁이 발생했다면 상대방에게 내용증명을 작성하여 보냅니다. 내용증명에는 해당 사건에 분쟁 내용, 상대방의 계약사항 파기 내용 ..

부동산매매 2021. 3. 12. 15:53

월세보증금, 집주인이 안돌려준다고 할 때 대처법

안녕하세요 인천 대표부동산 변호사 법무법인 청율인 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에서 벌어지는 분쟁은 가장 많은 사람이 접할수 있는 법률분쟁입니다. 그중 오늘은 월세 계약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월세계약에서는 보증금 반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갈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임차인은 보증금을 받고 또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갈 예정인데 보증금 지급이 안되면 앞으로의 계획에 차질이 생깁니다. '이러다가 계약금을 날리게 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며 걱정이 많아집니다. 임대인이 차일피일 월세 보증금 지급을 미루고 연락을 회피한다면 결국 법적 절차도 고려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변호사를 만나기 전 월세 세입자가 할 수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1️⃣ 계..

부동산매매 2021. 3. 10. 08:10

전세사기의 유형과 전세사기 예방법_부동산 변호사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청율인의 부동산법률상담센터입니다 전세제도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주택임대차 제도입니다. 전세 제도가 도입된 것은 주택금융시장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집주인과 세입자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나타났다고 합니다. 전세는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남의 집을 빌려 거주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으로 월세를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 차별화 됩니다. 오늘은 전세사기의 유형과 전세사기 예방법(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사기의 유형" ①깡통전세 깡통전세란 대출 및 보증금의 합이 짒값보다 더 큰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전세계약이 종료되었을 때 대출금을 갚지 못하여 전세 보증금을 되돌려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

부동산매매 2021. 3. 8. 14:28

부동산 가계약금 반환 받을 수 있을까요?

부동산 계약시 가계약을 하시고 기타의 사유로 계약이 취소될때 가계약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문의가 종종 들어옵니다. 가계약이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해도 실제적으로는 매매예약, 매매예약인 경우등 계약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사실 계약이라는 것은 상대방의 채무불이행 등이 없는 한 해제하기는 힘이 듭니다. 부동산 가계약이란? 기본적으로 계약은 계약서를 작성한 후에 정해진 비율의 계약금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다만, 그 전에 서로 구두로 협의가 된 계약금액이 있거나 계약금 중 일부를 먼저 지불한 경우 가계약금을 지불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서로 합의를 통해서 일정금액을 지불하고, 정식계약과 동일한 효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 부동산 가계약입니다. 부동산 가계약금 언제든지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사실, 가계약금을 돌려..

부동산매매 2021. 3. 4. 13:24

[지역주택조합 재개발 재건축]내가 조합원 자격이 될까?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청율인 부동산법률상담센터입니다. 오늘은 지역주택조합, 재개발, 재건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조합원 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역주택조합 ①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세대주인가 ②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주택을 소유하지 않거나, 주거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 주택을 1채만 소유했는가 ③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기준 6개월 전부터 다음 구분에 따라 사업지와 동일지역에 거주했는가 a. 서울특별시, 인청광역시 및 경기도 b. 대전광역시,충청남도 및 세종특별자치시 c. 충청북도 d.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e. 전라북도 f.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g.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h. 강원도 i. 제주특별자치도 ※서울시처럼 투기과열지구인 경..

지역주택조합 2020. 12. 22. 14:36

분양중도금 지체 중 입주예정일이 도래한 경우, 연체료를 지급해야할까?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청율인의 부동산법률상담센터 입니다. 오늘은 분양을 받은 후 중도금에 대하여 연체를 하다가 입주예정일이 도래한 경우 연체료를 지급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 ) 미뤄진 분양에...숨가쁜 중도금 일정 www.sedaily.com/NewsView/1VOEBH6UQX/GB0201 미뤄진 분양에...숨가쁜 중도금 일정 분양가격 통제에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예고로 분양을 미룬 단지들이 청약 접수에 나선 가운데 중도금 납입기한이 짧아진 아파트들이 잇달아 등장하고 있다. 통상 중도금(분양가의 60%)은 4개�� www.sedaily.com 계약금과 중도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12%에 달하는 연체 이자를 물어야 합니다. 이마저도 해결하지 못하면 사업주체로부..

분양대금연체 2020. 10. 16. 11:44

부동산 매매계약취소,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부동산법률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법무법인 청율인입니다.^^ 종종 부동산 평균 시세에 비해 과하게 비싼 가격에 거래했거나 혹은 임장 했던 토지와 계약서상 다른 경우 등등 사기나 착오를 이유로 부동산 매매계약취소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부동산 매매계약취소는 쉽지 않습니다. 또 매매 계약을 했는데 갑자기 시세가 급등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우리는 계약을 취소하고 싶겠죠? 이런 현상이 벌어진 데에는 주택 수요 억제 정책의 영향도 있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부르는 게 값'인 시장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가격이 급등했다면 안 살 것 같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아서 비싼 가격에 매매를 하려는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매매..

부동산매매 2020. 10. 7. 06:51

부동산 매매 분쟁, 부동산 매매계약 작성시 주의할 점

안녕하세요 부동산 법률 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법무법인 청율인 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의식주 중 주거의 문제는 아주 중요합니다. 그래서 '내 집 마련'을 위해 평생을 저축하고 분양을 받기 위해 높은 경쟁률의 청약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내 집 마련'은 모든 서민들의 꿈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을 매매할 때 내부의 상태와 부동산의 위치를 꼼꼼하게 따져보고 매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부동산 매매 분쟁 사건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부동산 계약등에서 법률분쟁이 발생하면 작지 않은 금액의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부동산 매매 관련 분쟁의 대표적인 상담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계약 해제할 때 계약금과 중도금을 반환해야 하는가? ▶매수인..

부동산매매 2020. 9. 28. 22: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서울상담전화 인천상담전화 카카오톡상담
지역주택조합 변호사 법무법인 청율인 Copyright(c) cheongyulin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